1. 자리

    古語에 나타난 깔개의 종류로는 “돗”“삿”“지즉(가직)”등이 있으며 “돗”은 한자로 석(席)과 연(筵)으로 번역되어지고 자리나 돗자리 혹은 초석(草席), 밀짚방석 등을 말한다. “삿”으로는 갈대나 대올로 결은 것을 말하며 나무껍질을 얇게 베껴서 엮는 “구름자...
    Date2011.11.23 Bypulzip Views3047
    Read More
  2. 주루목

    지역에 따라 "망태기"로 불리기도 하며 입구를 주름잡아서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도록 만들어서 매고 다닐 수 있는 가방을 말한다.
    Date2011.11.23 Bypulzip Views4512
    Read More
  3. 물허벅

    제주여성들(소녀용)이 물을 등에 지고 갈 때 사용한 운반용 "물동이"이다.
    Date2011.11.23 Bypulzip Views3869
    Read More
  4. 싸리광주리

    추수한 곡식 운반용으로 흔히 쓰였던 싸리광주리
    Date2011.11.23 Bypulzip Views3870
    Read More
  5. 지승삼태기

    흙, 거름, 쓰레기, 곡식, 재, 돌 등을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앞이 넓고 삼면을 움푹하게 엮어서 물건을 쉽게 담고 나르며 쏟을 수 있도록 디자인 된 용구이다. 지역마다 삼태기, 삼태, 삼태미라고도 불리워지며 앞을 막아서 물건을 담아 놓을 수 있게 엮어진 ...
    Date2011.11.23 Bypulzip Views14004
    Read More
  6. 짚신

    짚신은 짚석(전라도),짚세기(함경도)등의 방언이있고 초혜(草鞋)라고도 하며 다양한 종류,형태와명칭이 있다. 다량으로 소비되는 "막짚신"은 4날을 이용하여 신총을 뽑아가면서 엮었으며 가장많이 만들어서 소비하였다. "꽃짚신은 신총을 다른소재 (삼,비사리...
    Date2011.11.23 By관리자 Views3709
    Read More
  7. 설화

    눈밭에서 신는 신발. 눈장화라고 할 수 있고 다른 말로 둥구미신이라고도 함
    Date2011.11.23 Bypulzip Views32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닫기
로그인 유지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