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카페] 국·공립박물관과 사립박물관의 공존 필요성
국민의 생활과 연계된 공공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행동지침이 정책이듯이 박물관 정책은 박물관의 원동력이 국가문화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사회적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박물관 경영안정화를 위해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기준 하고 있다. 국가 문화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는 문화기반시설 확충과 더불어 국민의 문화향유를 위해서 궁(宮)이나 능(陵)별로 입장료 무료화(2004년)를 시작했다.
2007년 국립고궁박물관 개관기념을 위한 무료관람이 한시적으로 실시되면서 2008년은 건국 60주년과 한국박물관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무료관람이 국립중앙박물관을 시작으로 전국 국·공립박물관으로 확대 실시됐다. 이는 2011년 ICOM 상해대회의 슬로건인 “문화를 지배하면 모든 것을 정복할 수 있다”는 내용과 같이 문화적 지배를 통해서 사회의 조화와 자국민의 정체성은 물론 국가적 위상을 드러내고자 하는 정치적 원리가 적용되어 10여 년 이상 내국인과 외국인에게 무료관람을 실시하고 있다.
이로 인한 지출비용은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해야 하는 손실이 되고 소장품이나 교육연구, 관리운영 등의 소홀함은 부실운영으로 이어지게 되어 박물관의 질적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게 한다. 2017년 박물관 관람객 조사에서(문화체육관광부) 국·공립박물관의 관람객 약 6천600만 명을 포함한 전국박물관관람객 1억 명 이상으로 통계 되었듯이 우리도 세계 인구대비나 경제수준으로 보아 결코 뒤지지 않은 관람문화를 형성하고 있기에 이제는 양적인 면보다 질적인 면이 강조되는 문화정책을 필요로 해야 한다.
문화 기반시설에서의 문화 활동은 공원이나 휴게소와 같은 공공시설과 차별되어야 하고 정당한 문화적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일정한 값이 지불되어야 지속가능한 문화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사립박물관 입장료가 1천~1만 원인 것을 감안하면 관람객의 입장에서 무료입장인 국·공립 박물관과 비교된 사립관의 입장료는 관람기피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1세대 사립박물관 70% 정도의 설립자들은 설립 이후부터 별도의 수입 없이 지속되어온 운영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은 물론 학예인력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과 연령적인 한계로 박물관운영을 지속해나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보니 하나 둘 폐관으로 이어지고 있다. 사립박물관 중에는 전문적인 안목을 갖고 수집한 소장품이 세계적 수준에 있듯이 근대박물관의 역사와 함께 1세기를 버텨 온 사립관의 소중한 자원이 손실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근래 자유학기제를 위한 학생들에게 교육청 예산이 지원되고 선생님들의 재량으로 학교 밖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어 박물관 견학도 포함한다. 문화기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 학생들은 무료인 국·공립박물관이나 규모가 큰 기관을 우선으로 하고 사립박물관은 지방자치단체나 도서관, 공공문화기관과 동등하게 경쟁하면서 공공지원 사업에 참여해야 하는 어려움이 날로 커지고 있다. 문화로 세계를 지배하는 문화 전국(全局)시대에 들어 근대 박물관의 활동은 타자를 움직일 수 있는 이데올로기 적 수단으로 제도화하고 변화되듯이 종합박물관과 전문박물관의 자원이 연계되어 국민의 문화 복지를 위한 바우처 제도를 확대하고 국민 대다수의 문화향유는 응당한 값을 지불하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성숙한 관람문화로 변화되어야 한다.
국·공립박물관의 정당성과 사립박물관의 이원적 사고는 사회의 기부문화나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으로 이해되고 충족되어야 하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win-win 하면서 성장해나가듯이 국·공립박물관과 사립박물관의 문화도 공존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되어 강요하거나 억제되지 않고 상생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전성임 경기도박물관협회장
<저작권자 ⓒ 경기일보 (http://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